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리트코드
- HTML
- [파이썬 실습] 심화 문제
- [파이썬 실습] 중급 문제
- 엘리스
- 자바스크립트
- 자바스크립트 split()
- [파이썬 실습] 기초 문제
- 날씨 웹 만들기
- reactnativecli
- leetcode
- 자바스크립트 reduce()
- 프론트개발공부
- [AI 5기] 연습 문제집
- 개발일기
- 프로그래머스
- 자바스크립트 sort()
- JavaScript
- RN 프로젝트
- 부트캠프
- 엘리스 AI 트랙 5기
- 자바스크립트 날씨 웹 만들기
- 코드스테이츠
- 엘리스 ai 트랙
- 코딩부트캠프
- 프론트개발
- 삼항연산자
- 자바스크립트 날씨
- 개발공부
- 간단한 날씨 웹 만들기
- Today
- Total
개발조각
[React-native CLI] react-native에 Google Firebase Analytics Firebase-Crashlytics 적용 본문
[React-native CLI] react-native에 Google Firebase Analytics Firebase-Crashlytics 적용
개발조각 2024. 4. 30. 13:40Firebase Analytics와 Firebase Crashlytics를 적용하면 앱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.
Firebase Analytics
- 사용자의 행동을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.
: 이를 통해 사용자가 앱에서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이해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. - 사용자가 언제 앱을 이탈하는지 식별할 수 있습니다.
: 이를 통해 이탈 지점을 개선하고 사용자 이탈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. - 사용자의 관심사와 행동 패턴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.
: 이를 통해 개발자는 앱의 타겟 사용자를 더 잘 이해하고 사용자 중심의 기능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.
Firebase Crashlytics
- 앱에서 발생하는 충돌을 모니터링하고 식별합니다.
: 앱이 충돌하거나 중단되면 Crashlytics는 해당 문제를 신속하게 보고하여 신속한 해결을 돕습니다. - 앱의 오류를 디버그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.
: Crashlytics는 오류 발생 시 발생한 코드와 함께 오류 보고서를 제공하여 개발자가 문제를 신속하게 식별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Firebase Analytics와 Firebase Crashlytics는 안정성 및 성능 향상을 위해 안드로이드 및 iOS 앱에 널리 사용되는 인기 있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.
참고블로그
https://adjh54.tistory.com/254
[RN] React Native Firebase Analytics + Crashlytics 이해 및 설정 방법 : Andriod
해당 글에서는 React Native에서 Andriod 개발환경에서 Firebase Analytics와 Crashlytics를 이해하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확인합니다. 1) React Native Firebase💡 React Native Firebase - React Native 애플리케이션에서 Fi
adjh54.tistory.com
Google Firebase Analytics 웹 페이지 설정
firebase 접속
https://firebase.google.com/?hl=ko
Firebase | Google’s Mobile and Web App Development Platform
개발자가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앱과 게임을 빌드하도록 지원하는 Google의 모바일 및 웹 앱 개발 플랫폼인 Firebase에 대해 알아보세요.
firebase.google.com
- "시작하기" 클릭
- "프로젝트 이름" 작성
- "계속" 클릭
- 프로젝트 생성되면 android 아이콘 클릭
- 각각의 값 채워 넣기 (Android 패키지 이름, 앱 닉네임(선택사항), 디버그 서명 인증서 SHA-1(선택사항))
5. 디버그 서명 인증서 SHA-1(선택사항) 구성방법
keytool -J-Duser.language=en -list -v -alias androiddebugkey -keystore ./android/app/debug.keystore
- 해당 명령어를 수행하여 SHA-1 keystore를 발급받는다.
- 비밀번호는 입력하지 않고 Enter를 누른다.
SHA-1은 터미널에 나옵니다.
이 값을 넣어도 파이어베이스에서는 오류로 나와서 해줄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.
6. 구성파일 다운로드
Download google-services.json을 클릭하시고 이미지와 똑같은 위치에 넣어주시면 됩니다.
React Native Google Analytics 소스코드 내 설정
1. 라이브러리 추가
# @react-native-firebase/app 모듈 설치
$ npm install @react-native-firebase/app
# @react-native-firebase/analytics 모듈 설치
$ npm install @react-native-firebase/analytics
참고블로그에서는 ios 설정 때문에 cd ios/ && pud install을 했지만
저는 안드로이드 전용 앱임으로 cd ios/ && pud install을 안 했습니다.
2. bulid.gradle 설정
androild/bulid.gradle
classpath 'com.google.gms:google-services:4.3.15'
classpath가 보이는 곳에 코드 추가하기
android/app/bulid.gradle
apply plugin: "com.google.gms.google-services"
apply plugin이 보이는 곳에 코드 추가하기
implementation 'com.google.firebase:firebase-analytics'
implementation 보이는 곳에 코드 추가하기
3. 파이어베이스 사이트에서 확인
왼쪽에 Analytics Dashborad 클릭해서 확인
Google Firebase Crashlytics 설치
1. 라이브러리 설치
# @react-native-firebase/app 모듈 설치
$ npm install @react-native-firebase/app
# @react-native-firebase/crashlytics 모듈 설치
$ npm install @react-native-firebase/crashlytics
2. firebase.json 작성
{
"react-native": {
"crashlytics_debug_enabled": true
}
}
firebase.json을 해당 위치에 만들어주시오 코드를 넣어주세요.
3. build.gradle 설정
android/build.gradle
classpath 'com.google.firebase:firebase-crashlytics-gradle:2.9.9'
classpath가 보이는 곳에 코드 추가하기
android/app/bulid.gradle
apply plugin: 'com.google.firebase.crashlytics'
apply plugin이 보이는 곳에 코드 추가하기
implementation 'com.google.firebase:firebase-crashlytics'
implementation 보이는 곳에 코드 추가하기
4. 강제로 crash 로그 발생시키고 확인
import crashlytics from '@react-native-firebase/crashlytics';
// 강제로 crash 로그를 발생시켜 확인.
useEffect(() => {
crashlytics().crash();
}, []);
App.tsx
import React, {useEffect} from 'react';
import crashlytics from '@react-native-firebase/crashlytics';
const App = () => {
// 강제로 crash 로그를 발생시켜 확인.
useEffect(() => {
crashlytics().crash();
}, []);
return (
...
);
};
export default App;
작성한 뒤 npm run android 하시면, 화면이 실행되지 않고 꺼지고
파이어베이스에서 Crashlytics에 들어가셔서 확인하시면 crash 된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이건 제가 여러 번 해서 이렇게 나온 겁니다.
'React-Native > [프로젝트] 택시 운행관리 기록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-native CLI] 패키지 이름 바꾸기 (0) | 2024.05.02 |
---|---|
[React-native CLI] 안드로이드 앱 배포를 위한 AAB 추출하기 (0) | 2024.04.30 |
[React-native CLI] android 핸드폰에 wifi로 연결하기 (0) | 2024.03.28 |
[React-native CLI] RN 안드로이드 아이콘 바꾸기 (0) | 2024.03.27 |
[React-native CLI] RN 현재 화면이 어디인지에 따라 상태바 색상 변경하기 (0) | 2024.03.27 |